iptime공유기 설정 :: 관리모드 이게 무슨 설정이지 ? [ 초보자편 ] 본문
예전에 네트워크 업자였던 사람의 포스팅 입니다. 네트워크 , 서버 일반 사람들이 이 얘기만들어도 벌써 부터 ' 어렵다, 어렵다 ' 생각하실수 있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습니다. 왼만한 가정용 소규모 사업장, 중소기업 사업장까지 iptme이 지배하고있기 떄문이죠. 이유를 들자면 저렴하고, 사용법이 쉽다 입니다. 그런데 네트워크 업자들에게나 쉬운얘기지 일반인들에게는 어렵다구요 ? 결코 아닙니다. 이 포스팅을 정독하신다면 iptme을 네트워크 관리자 모드를 정복하실수 있습니다.
먼저 제가 준비한 테스트용 iptime의 모델은 iptime T240000 입니다. ( 꼭 터미네이터 넘버 같죠 ~ ㅋ ?) 2015년도 근 최신 모델이며, 탑재된 기능도 많아 이것으로 테스트를 도와드리겠습니다. 일단 이 모델은 기가GA 네트워크가 지원됩니다. 하지만 초보자 분들은 기가가 지원된다 하는 생각으로 구매하시면 절대 안됩니다. 공유기가 기가를 지원할분 설치할 장소에 시스템이 기가가 아니면 별로 소용없기때문이죠. 자 이제 본론으로 돌아가 하단에 이미지를 보시면서 천천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로그온 화면
아이피타임의 관리자 모드는 딱 이화면입니다. 이젠 친숙하기까지하네요. 하지만 제가 테스트하는 모델이 근 최신모델이라서 그런지 보안 능력이 조금 올라갔네요. 처음 공유기를 설정하시는 분들이라면 절대적으로 !설정마법사! 를 추천드립니다.
관리도구
관리도구에 들어가면 들어가자 마자 [인터넷 연결 정보]가 보이실겁니다. 공유기 관리자로 들어가는건 구지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아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내 공유기에 일단 인터넷회선이 제대로 들어왔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기본 정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내부 네크워크
지금 현재 사용 중 이라면, 이 공유기에 붙어있는 컴퓨터들의 MAC 주소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MAC 주소는 각 컴퓨터마다 가지고있는 네트워크 이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부 네트워크 설정
내부 네트워크 설정은 아이피 타임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설정이 아닌 자신이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창입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공유기를 산다면 - 192.168.1.1 대역 192.168.0.1 대역 192.168.10.1 대역 정도로 입니다. 또한 내부 네트워크 설정에 보시면 DHCP 서버 설정이 있는데요. 이 설정은 말그대로 인터넷 자동으로 회선을 뿌려 주느냐 아니냐 하는 질문입니다. 한마디로 사용자 컴퓨터에서 IP를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그냥 자동으로 인터넷이 된다는 뜻이죠. 하단 이미지는 중지에 되어있습니다. 이유는 일반 기업은 IP할당을 해줘야 합니다. 관리가 필요하기 떄문이죠.
NAT/라우터 관리
그 외 다른 설정도 많을텐데요 그중에 가장 중요한 설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초보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탭이죠. 바로 포트워드 설정이 아닐까 합니다. 이것은 외부 포트를 받는데 가장 중요한 설정입니다. 흔히 세콤, 캡스, 각종 보안 시스템 혹은 각종 공장 프로그램들은 외부 포트를 설정해주셔야 합니다. 그러므로 포워딩 설정은 중요합니다.
보안기능
보안기능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참 편리하게 입력방법선택이 탭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 오래된 탭이네요.. 버디버디 간만에 들어봅니다. 어쨋든 보안기능은 어떠한 프로그램을 차단하기 위한 설정입니다. 즉 예를 들어 사무실에 모든인원이 카카오톡PC를 하면서 업무가 지연되는걸 관리자가 차단하는 장치 설정이라고 보시면됩니다.
보안기능 네트워크 감시
이 기능은 말그대로 네트워크 감시 입니다. 인터넷을 하면 데이터의 송수신이 있는데 그중에 불안정해 보이거나 의심되는 모든 통신을 관리자가 통보 받는 설정이죠. 요즘은 워낙에 불안정한 사이트가 많다보니 만약 모든 통신을 감시하신다면 어마어마한 일이 벌어지실겁니다.
특수기능
점점 지쳐가네요 VPN 서버설정 VPN은 내부 망 인터넷 곧 인트라넷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시스템은 군사시스템과 흡사합니다. 즉 적에게 알리지 않기위해 우리들끼리만 쓰는 소통망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네이버 마케팅 작업 혹은 다수의 마케팅 작업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청춘IP, 엘리트IP 업체가 대표적입니다. 편법은 늘 발달하는법이죠.
WOL기능
가장 최신 기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 기능은 간단히 말씀드려 원격 ON/OFF입니다. 이 설정을 걸었고 내가 서버 관리자라면 모든 컴퓨터의 ON/OFF를 하실수 있습니다. 단. 메인보드에서 네트워크 WOL이 지원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2008년 이후 메인보드는 기본 탑재 입니다.
공지광고 기능
이 기능은 보나스 기능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설정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공유에 물려있는 모든 컴퓨터는 인터넷 사용시 광고페이지를 무조건 보여지게 됩니다. 즉 인터넷을 사용할려면 내 페이지를 보고 시작해야되는 뜻이겠죠.
시스템관리
시스템 로그 : 공유기 내부에 어떠한 이벤트든 기록이 되어있습니다.
ON/OFF, 시스템 충돌, 오류 증상 등 다양한 내용들이 로그에 남습니다.
그외 전부 기본적인 설정이며, 더욱 상세한 내용은 설명서를 참조해보세요..
후기 : 회사에서 몰래 생각나는대로 포스팅을 해보았습니다. 위 내용들을 조금더 상세하게 다뤄야지 했는데 소개만해도 벌써 이렇게 많은 글귀를 내려가게 됬네요. 위 나열된 설명내용들은 모두 초보자들이 다루기에도 쉬운 설정이며, 다양한 보안과 편리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위 기능들만 아셔도 네트워크 설치하시는고 설정하시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이건 단순히 아이피타임의 기능뿐입니다. 시스코, 넷기어, 에어로 등 그외 장비들은 설정방법 자체가 어려우며 광대하다고 하는게 맞습니다.
다음에 조금더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과 공감은 블로거를 춤추게합니다.
'hard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기록삭제 :: ' 누구나 할수 있답니다 ' 초 간단 :: ( 인터넷 방문기록 삭제, 인터넷 방문기록 지우기, 인터넷 익스플로러 방문기록 ) (1) | 2015.12.01 |
---|---|
윈도우 종료 버튼 만들기 《예약, 취소, 만들기》 (1) | 2015.12.01 |
윈도우7 설치 usb만들기 [ 너무 쉬워서 깜짝 놀람 ] (3) | 2015.11.27 |
윈도우 7 공유설정하기 '아쥬 간단하게 알려드립니다' #개초보자편 ( 사용자 입장에서 공유폴더 들어가보기 ) - 2편 (1) | 2015.11.26 |
윈도우 7 공유설정하기 '아쥬 간단하게 알려드립니다' #개초보자편 ( 윈도우 7 공유 완벽하게 이해하기 ) (1) | 2015.11.26 |